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

라벨이 아파트선호이유인 게시물 표시

아파트 vs 다가구주택? 우리 가족을 위한 집, 땅과 자재까지 따져봐야 하는 이유

  대한민국 주택 유형별 특징과 아파트 선호 이유 1. 주택 유형별 층수/면적 특징 대한민국의 주택은 크게 단독주택과 공동주택으로 나뉘며, 각각의 유형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. 주택 유형 층수/면적 기준 특징 아파트 5층 이상 공동주택으로, 구조적으로 한 가구씩 독립하여 살 수 있도록 건축됨 연립주택 4층 이하, 연면적 660㎡ 초과 2~4층의 빌라, 맨션 등 포함, 규모가 다세대보다 크고 아파트보다 작음 다세대주택 4층 이하, 연면적 660㎡ 이하 각각 분리하여 등기 가능, 규모가 작음 단독주택 3층 이하, 연면적 330㎡ 이하 한 가구가 생활할 수 있도록 건축된 주택 다가구주택 3층 이하, 연면적 660㎡ 이하 여러 가구가 살 수 있도록 설계되었으나, 분리 소유나 매매 불가능 오피스텔 제한 없음 업무시설로 분류되나, 주거와 사무공간을 겸용으로 사용 가능 주상복합 제한 없음 주택과 상가가 하나의 건물에 합쳐진 형태 2. 주택 유형별 매도 시 땅 면적의 차이 주택을 매도할 때 단순히 ‘건물’만 파는 것이 아닙니다. 대부분은 건물과 함께 토지 지분 또는 대지권 이 함께 거래되며, 이때 주택 유형에 따라 '땅이 얼마만큼 포함되었는지' 계산 방식이 크게 다릅니다. 주택 유형 땅 면적 산정 방식 매도 시 영향 단독주택 건물 전체와 대지 전부 포함 ...